쟤 알바해요 쟤 사업자 있어요 배 아파 죽겠지? 부러워 죽겠지? 퇴근해서 알바 하기에는 귀찮아 죽겠고, 퇴근해서까지 알바하느니 유튜브 보고 공부하는 게 낫다고 하면서 말이지. 업무시간에 알바하는게 말이 안 되지? 당연히 하면 안 되는 거지. 그런데, 하는 사람도 알어 하면 안 되는 거. 급하니까 잠깐 하는 게 걸린 거겠지. 그거 보고 눈꼴시려서 지랄하고 싶은거겟지. 그냥 알바하는 사람들이 얄밉고 보기 싫고 하니 명분을 찾는 거겠지. 내가 사장도 해보고, 관리자도 해보고, 경영진도 해보니까. 알겠더라. 차라리 알바 해라. 알바 하는 놈들이 일을 더 잘하더라. 알바 하는 놈들이 업무시간에 일처리 더 깔끔하게 하더라 알바 하는 놈들이 자기 시간을 더 철저하게 관리하고 쪼개서 쓰더라. 훨씬 바지런을 떨면서 일처..
그게 뭔데??? 인정받으면 좋아? 뭐가 좋은 건데? 필자는 어려서부터 인정받고 싶다는 주변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회사에서 인정받고 싶다. 정말 이해가 안 되는데.. 어떤 인정? 인정이라는 게 뭐지? 이야~ 잘한다. 너 최고다 음. 김대리 자네만 믿네. 김대리 없으면 회사가 안 돌아가 이런 거? 레알? 받아서 뭐 하게??? 분명히 말하지만. '돈이 최고다' 인정받으면 돈도 많이 받는다고? 아니요. 인정받으면 일이 많아져요. 인정받았다의 과정을 한번 살펴보자. 위에서 무언가 미션을 던졌고, 그것을 받아서 합당한 아웃풋을 내주었다.라는 뜻 아닌가? 윗선에서 무언가 미션을 던질 때. 뭐 알고 주는 거 같나? 지도 몰라. 대충 뭘 어떻게 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하는 거지. 그게 뭔지 잘 모르고 해 봐야 아는 거거..
일은 많은데 응? 사람 좀 뽑아줘요 네? 응 뽑아줄게 (내년에) 직장생활 20년간 느낀 점이다. 사람이 필요하고 사람을 뽑아야 할 때 사람을 뽑지 않는다. 나는 회사가 성장하면 당연히 일손이 필요하고 기존 인력은 일이 몰리니 힘들겠지. 그러면 뽑아줄 것이라 생각하고 그냥 버텼다. 남들보다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봐서 업무량이 훨씬 많고 처리량이 많다. 윗사람들도 나를 보며 정말 일을 많이 한다. 일을 잘한다고 한다. 그런데 사람을 뽑아주지 않는다. 내 직장생활 20년의 경험으로 말해준다. '튀어라' 안 뽑아줄 거다. 왜? 일처리가 되고 있으니까. 당신을 통해 일처리가 되고 있지 않은가? 그런데 왜 뽑아주나? 월급 더 올려달라고 말하고, 퇴사카드 던지며 월급 올려달라고도 한적 있다. 그럼에도 안 올려준다. 왜..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고 있다가 상사의 말 한마디에 멍청이가 되더라 대부분 '을'과 대화하는 '갑'의 모습을 바라보면, 자신의 의견을 내다가도 상사의 한마디에 자기 생각이 날아가버리는 사람이 있다. 당신 상황이다, 잘 들어라. 내 경험상 1. 상당히 고압적인 회사의 경우 2. 정치적인 성향이 강한 회사의 경우 고압적인 회사의 경우 말 한마디에 추진하던 직원 머릿속에서 뿜뿜대던 아이디어가 날아가버린다. 즉, 자신의 생각이 없고 상사의 지시에 따른다는 얘기다. 잘 생각해 보라, 그 상사는 책임을 지는 사람인가? 아닐걸? 정말 책임이라는 게 뭔지 아는 사람은, 추진하는 직원에게 책임 있는 판단을 요구하거든. 그런데 추진하던 직원의 생각이 날아가버리고 갑자기 수동적인 인간형태를 보이고 있다. 뜻은? 자신의 아이디..
채용할 땐 재주가 많아 보였는데 막상 뽑아놓고 보니 무능하네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 같은 소리 많은 대표님들이 실수하는 것이 있다. 첫 번째로, 자기가 잘난 줄 알고 두 번째로, 직원이 무능한 줄 안다. 조직과 기업의 특성상 '지시에 따르는 것'이 직원이다. 당연하다 월급 주는 사장이니까, 생사여탈권을 가지고 있는 대표니까. 다시 볼까? 대표에게 '책임'이 있다. 책임자가 지시한다. 그럼 뭐 내가 힘들게 싸울 필요 있는가? 그냥 따르면 편한데. 여기에서 문제의 시작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지시' 자신의 지시에 따르는 직원들이 무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직원이 몰라서 따르는 게 아니고 굳이 말싸움하면서 힘 빼는 게 싫은 것이다. 책임자가 이래라저래라 하라는 대로 하는 것이 편하니까. 그런데, 이걸 대..
B2B 시장에서 비포마켓(Before market) = 프리세일즈(pre-sales) 애프터마켓(After market) = 포스트세일즈(post-sales) 그 차이는 무엇일까? 비포마켓(Before market) 신제품 시장이다. 아직 시장에 제대로(?) 적용된 것이 없고 규격화된 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이해하기 쉽게, IoT 시장, 인공지능 시장, 메타버스 시장 같은 거라고 생각하면 쉽다. IoT 도 명확한 규격이 없다고 보면 된다. 만드는 회사마다 데이터가 제각각이고, 나름 규격화된 글로벌 프로토콜 등이 있지만 어떤 특정 기술만 사용되지도 않는다. 이럴 경우 특정 회사(대부분 대기업) 제품이 엄청나게 많이 사용되어 그 회사 제품의 가이드라인이 표준이 되는 경우가 많다. 애프터마..
내가 '갑'의 위치에서 제안을 받고 외주 개발할 때 주의해라. 당신은 '신'이 아니다. 주의해라. 당신은 '주인'이 아니다. 자신을 객관화하지 못하고, 떠받들어주는 '외주사'의 행동 때문에 우쭐해지거나 '나는 위대하다'라고 생각하지 마라. 큰코다친다. 내가 '갑'의 위치에서 외주사를 줄 경우는 대부분, '어떠한 특정 서비스를 시장에 내놓기 위함'이다. 그러면 RFP (제안요청서)를 작성할 때는 시장의 요청사항이나 기업의 보안사항인 주요 전략등이 빠지게 되어있고, '어떤 서비스를 하기 위해 A, B, C를 개발'해주세요.라고 제안요청서가 작성되게 되어있다. 아무리 보안서약을 하고 배포한다고 해도 기업 외부로 나가는 문서이기 때문에 그 안에 기업의 핵심 전략을 내포할 수는 없다. RFP를 배포하고, 제안을 ..
제안 요청서 분석을 먼저 꼼꼼하게 하라 메타버스 도서관 구축 제안요청서 분석내용 참조 https://www.documento.co.kr/notice/?idx=15611991 제안요청서 분석이라는 과정에서 얻어야할 필수사항 1. 고객의 Needs 를 보이는 것 대로 2. 고객의 Needs 를 보이지 않는 잠재적인 부분까지 판단 3. 업무 범위 / 사업비 내 수행 가능한지 판단 4. 고객사 분위기 (보도자료 등 소문) 5. 이번 제안건 이외에 추가적으로 발생될 가능성 여부 제안서 표지 왜 이런게 중요하지? 라는 생각하지 말고 제안요청서의 요청 표지사항을 잘 따르길 바란다. 정부지원사업에서는 규정이라는게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별것도 아닌 오타, 별것도 아닌 표현방식 하나에서 감점이 발생되는것이다. 현장관리자..
바구니 속 달걀을 모두 꺼내지 마라 직장생활을 하며 뼈저리게 깨달은 부분이 이것이다 너무 늦게 알게 되어 아쉬운 부분이다 아이디어 관리하라 어떤 사람은 타인의 아이디어를 듣고 가만히 담고 있다가 기회가 오면 자신의 아이디어인 것처럼 내세운다. 어떤 상사는 하지 마라,라는 안티적으로 얘기하다 성공하면 마치 자신의 아이디어인 것처럼 포장한다. 어떤 후배는 좋은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이직 후 자신의 아이디어인 것처럼 보고한다. 아이디어가 많다면? 기록해 놓으라. 이 아이디어는 어떨 때, 저 아이디어는 어떨 때. 기록해 놓고 개인적으로 관리하라, 그리고 직장생활 중 필요할 때 그 아이디어를 꺼내라. 회의자리에서 아이디어를 꺼내라, 담배 피우면서 술 마시면서 누군가에게 얘기하지 마라. 스틸한다. 이러한 아이디어..
이 회사는 체계가 없어요 주먹구구식으로 일하고 있어요 어처구니없는 소리다 대기업 다니는 사람들도 체계 없다 소리 하더라, 체계 있다는 회사 들어본 적이 없다. 그럼 왜 저런 소리를 하는 것인가? 업무요청서, 지시서 등의 문서가 없다는 것으로 체계가 없는 회사라느니.. 주먹구구라느니.. 그런 거 요청하는 사람 중 일 잘하는 사람 못 봤다, 정치든 실력이든 일 잘하는 사람은 되려 필요 없거든 금방 이해하고 처리하니까. 그런 건 일 잘하는 게 아니고 지가 잘하는 줄 아는 거다, 지가 생각하고 체크해 놓을 줄 모르니까 생각을 대신해 달라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이다. 즉, 자기가 자신의 일을 컨트롤하고 싶은데 윗사람이나 다른 부서에서 업무요청이 막 들어오니까 정신없고, 점점 짜증 나니까 문서 같은 걸로 체계화하..
파워포인트로 제안서 만들때 미리 신경쓰면 시간을 아낀다 1. 마스터를 활용하라 - 디자인은 끝도없이 손대야 하는 경우가 많다. - 마스터는 수정할 때 편하다. 보기 - 슬라이드 마스터 필자는 이렇게 작업한다. 첫 번째 마스터는 목차 간지. 를 만들어 놓는다. 두 번째로 간지 페이지를 만든다. 세 번째로 1장, 2장, 3장 등 각 페이지에 들어갈 내용을 만든다 (1) 마스터의 마스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기준이 되는 페이지이다. (2) 그 기준 위로 덮어씌워지는(?) 콘텐츠라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부터 각 챕터별 마스터를 만들어 넣는다. PPT(파워포인트) 화면으로 돌아와서, 1) 변경코자 하는 슬라이드를 한꺼번에 선택하고 2)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3) 원하는 거 선택하면 끝. 매번 만들지 말고 ..
기획자는 공격적이면 안된다? 패고 싶다 공격하고 싶다 욕하고 싶다 묶어놓고 때리고 싶다 기획하면서 다른 조직원들과 대화하다 보면 느끼는 점이다. 생각을 바꿔보자, 잠깐 부처님이 되어보자. 나는 보살이다. 나는 보살이다. 저 사람이 나에게 공격적인 이유는, 뭔가 호소하고 싶은 것이 있는 건 아닐까? 나에게 상처받은 것이 있는 건 아닐까? 기획자 생활을 하면서 공격적이지 않은 기획자를 본 적이 없다. 모든 기획자가 공격적이고 욱하는 건 아니지만, 난 본 적이 없다. 부드러운 척하면서 뒤에서 칼을 갈고, 뒤통수치는 기획자도 많다. 앞에서는 보살이고 뒤에서는 야차의 눈으로 쳐다보고 있는 사람도 있다. 이렇게 생각하고 있으면 과연 일이 편해질까? 과연 일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인가? 나 또한 공격적인 기획..
나라장터 공고 확인 1. 나라장터 접속 (https://www.g2b.go.kr/) 2. 검색어 = 메타버스 전주 전주-익산 메타버스 여행 도서관 구축 사업 공고일시 : 2023/06/19 15:45 공고번호 : 20230628699 - 00 공고기관 : 전라북도 전주시 입찰방식 : 전자입찰 입찰개시일시 : 2023/07/07 10:00:00 개찰(입찰)일시 : 2023/07/11 18:00:00 사업금액 : 1,990,000,000원 (20억원) 추정가격 : 1,809,090,909원 (부가세 : 180,909,091원) # 본 콘텐츠는 판매를 목적으로 생산했다가 후배님들 교육을 위한 취지에 맞게 판매가 아닌 교육자료로 활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사업 설명 1. 전주-익산 도서관을 메타버스로 표현하는 것..
기획자는 세상의 사물, 상황 모든 것을 Bullshit으로 바라보라 그게 맞는가? 그게 옳은 행동인가? 이렇게 하면 다 좋은가? 맞다는데? 옳다는데? 좋다는데? Bullshit! 그 행동과 말이 맞다고 넘어가지 마라. 산수 하는 거 아니다. 여러 가지 예를 들어서 이해시켜 주겠다. 항상 뒤끝 없다며 솔직하게 말한다고 하며, 말을 쏟아내는 사람이 있다. Bullshit! 솔직함 속에 무례함이라는 '가시'가 있을 수 있다. 솔직한 것이 아니고 자신의 속풀이일 수 있다. 앞에서 미소 지으며 에둘러 말하는 것이 가식적이라며 싫어하는 경우가 있다. Bullshit! 어떤 이에게는 배려의 목소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조곤조곤 돌려 말하며 뼈를 깎아버릴 수도 있다. 타인의 말을 진중하고 명확하게 말한다고 하여 그 ..
스스로 안다고 착각하지 마라 그거 꼰대다 기획자는 많은 부분에서 알아보고 기획하는 습성이 있다 그러다 보니 시간이 지날수록 본인이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착각하게 된다. 한 가지만을 들여다봤고, 그것만 들여다봤고, 답이 나오는 방향으로만 들여다본 것은 아닌가? 새로운 것이 나타났을 때 마치 그것을 아는 것처럼 생각하게 되고, 기획하게 되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것은 아는 것이 아니고 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왜? 기획 내용이 기존의 내용과 별반 차이가 없으니까. 분명 새로운 분야이고, 처음 접하는 산업인데 내용차이가 없다는 것이 과연 맞을까? 예를 들어보겠다. 모바일웹 디자인을 예를 들어 보자 2007년도 아이폰3GS 가 처음 나왔을 때 kt에서 도입했었다. 그때 팬택의 스마트폰이 있었고, 갤럭시도 막..
교육플랫폼 구축 및 운영 제안서 (네트워크 보안 인력 양성) 제안규모 : 구축기간 - 06 개월 제안제출 : 2018년~2019년도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해서 활용하시면 됩니다) 파일구성 : A4 세로 제안서 특징 - 보안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플랫폼 구축 사업입니다. - 정부 공공기관 사업입니다. 목차 Ⅰ.제안개요 1.제안의 목적 및 배경 2.사업수행 범위 3.사업수행의 전제조건 및 역할분담 4.제안내용의 특장점 5.제안의 기대효과 Ⅱ. 제안업체 현황 1.제안사 개요 ..1.1 일반현황 ..1.2 주요 연혁 ..1.3 자본금 및 매출액 3. 주요 사업내용 4. 인증 및 보유기술 Ⅲ. 기술 및 기능 1. 교육 플랫폼 구축 방안 ..1.1 교육 플랫폼 개발 전략 목표 ..1.2 교육 플랫폼 개발 전략 방..
서비스 품질관리, 서비스 수준 운영 제안서 (SLA 제안서) 제안서 특징 - SLA (서비스 품질관리) 관련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시스템 및 서비스 운영 제안 시 본 내용이 함께 제안되면 좋습니다. 안내 사항 - 폰 트 : 나눔고딕, 나눔바른고딕 - 페이지 수 : 25 페이지) 저작권 - 직접 제작한 저작물로서 구매자분께서 활용하시면 됩니다. - 구매 후 참고하시어 제안 입찰에 활용하셔도 됩니다. - 재판매 금지, 수정후 재판매 금지입니다. (어떤분께 드렸더니 자기가 판매하고 있더군요) # 자료를 구매해서 활용한다는뜻은,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줄여주고, 타인의 경험을 구매하는것과 같습니다. 목차 1. 서비스 품질관리 ..1.1 개요 ..1.2 도입 목적 2. SLA 관리 ..2.1 서비스 수준 협약(S..
상품이력제 정보시스템 구축 용역 홈페이지 리뉴얼 + 관리시스템 재구축 제안규모 : 구축기간 - 07 개월 사업규모 : 6억원 ~ 7억원 제안제출 : 2018년~2019년도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해서 활용하시면 됩니다) 사업내용 음식 상품에 이력제를 도입, 상품의 이력현황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재구축하는 사업 수행범위 공통적 추진사항, 홈페이지 리뉴얼(재구축) , 업무시스템 재구축, 모바일 시스템 재구축 - 공통적 추진사항 : 요구사항 준수 시스템 재구축 / 변경 규정 적용 / 변경 지침 적용 - 홈페이지 리뉴얼 : 콘텐츠 기능 강화 / 접속자 활용 현황 분석 및 관리 기능 - 운영 및 관리 효율 : 상시 보고체계 적용 / 정기 점검을 통한 시스템 오류 최소화 - 업무 신속성 및 안정 : 적시대응..
산업활용 디자인 DB 구축 사업 제안서 (리뉴얼 포함) 제안규모 : 계약후 ~ 07 개월 사업규모 : 15 억원 사업 내용 - 박물관의 2D 로 구성된 데이터를 3D 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 UI/UX 의 개선, 데이터 재구성, 검색기준 강화 등이 적용되는 제안서 입니다. 제안서 특징 - UI / UX 구현 프로세스 = 디자인 부문의 전문성을 강조 - 기존 디자인적 기능의 고도화 - 콘텐츠 활성화 방안 - 체계적 디자인 표현 등 디자인과 기술부문에 있어서 전문적임을 어필하기 위해 전체 제안서가 구성되어있습니다. 특히 기술부문만 90 페이지로 구성어있습니다. - 보안요구사항에 대한 대응 - 대응한 보안에 대한 관리 방안 -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 (데이터베이스 이행 전략 3가지 기준으로 수행) # 7단계 품..
27억 규모 -입찰 제안서- 사업 운영부문 나라장터(조달청) "사업 운영 부문" 제안서 제안규모 : 운영기간 - 12개월 사업규모 : 27억원~30억원 규모 제안제출 : 2018년~2019년도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해서 활용하시면 됩니다) 제안 특징 (제안 노하우) - 지속적 관리 방안 제시 (기술 지원인력 조편성, 교대 근무(표) 방안 제시) - 제안사 추가제안 : 설뭉조사 - 기존의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는 운영 방법론 제시 (P.I / Process Innovation) 제안 주요 내용 중 품질관리를 위해 별도 PMO 조직운영이 제안되어있습니다. - 전문 인력과 전문조직, 전문 지원조직으로 구성됩니다 인력 운영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 인력변동 시 처리절차에 대한 프로세스화 - 인력 채용 프..